CS/네트워크
-
https://mangkyu.tistory.com/98 [Web] HTTP와 HTTPS의 개념 및 차이점 1. HTTP란? [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란? ]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란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. 즉,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 mangkyu.tistory.com
[네트워크] HTTPhttps://mangkyu.tistory.com/98 [Web] HTTP와 HTTPS의 개념 및 차이점 1. HTTP란? [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란? ] HTTP(Hyper Text Transfer Protocol)란 서버/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. 즉,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텍스트를 교환하기 위 mangkyu.tistory.com
2023.08.22 -
1.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IP 주소에서 ARP를 통해 MAC 주소를 찾아 MAC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한다. - ARP: 가상 주소인 IP 주소를 실제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 - RARP: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 용어 - 브로드캐스트 :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방식 - 유니캐스트 :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: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2. 홉바이홉 통신 통신 장치에 있는 '라우팅 테이블'의 IP를 통해 시작 주소부터 시작하여 다음 IP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'라우팅' 과정을..
[네트워크] IP 주소1. ARP (Address Resolution Protocol) IP 주소로부터 MAC 주소를 구하는 IP와 MAC 주소의 다리 역할을 하는 프로토콜 IP 주소에서 ARP를 통해 MAC 주소를 찾아 MAC 주소를 기반으로 통신한다. - ARP: 가상 주소인 IP 주소를 실제 주소인 MAC 주소로 변환 - RARP: 실제 주소인 MAC 주소를 가상 주소인 IP 주소로 변환 용어 - 브로드캐스트 : 송신 호스트가 전송한 데이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호스트에 전송되는 방식 - 유니캐스트 : 고유 주소로 식별된 하나의 네트워크 목적지에 1:1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 2. 홉바이홉 통신 통신 장치에 있는 '라우팅 테이블'의 IP를 통해 시작 주소부터 시작하여 다음 IP로 계속해서 이동하는 '라우팅' 과정을..
2023.08.22 -
1. 네트워크란? 노드(node)와 링크(link)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노드 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 링크 : 유선 또는 무선 처리량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=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 단위 : bps(bits per second) 대역폭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지연 시간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매체 타입(무선, 유선), 패킷 크기,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에 영향 받음 2. 네트워크 토폴로지(Network Topology) 노드와 링크의 연결 방식 2-1. 트리 토폴로지 트리 형태로 연결 계층형 토폴로지 장점 노드 추가,..
[네트워크] 네트워크의 기초1. 네트워크란? 노드(node)와 링크(link)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 노드 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 등 네트워크 장치 링크 : 유선 또는 무선 처리량 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많은 트래픽을 처리한다 = 많은 처리량을 가진다 단위 : bps(bits per second) 대역폭 주어진 시간 동안 네트워크 연결을 통해 흐를 수 있는 최대 비트 수 지연 시간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 어떤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 데 걸리는 시간 매체 타입(무선, 유선), 패킷 크기,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에 영향 받음 2. 네트워크 토폴로지(Network Topology) 노드와 링크의 연결 방식 2-1. 트리 토폴로지 트리 형태로 연결 계층형 토폴로지 장점 노드 추가,..
2023.08.22